2008년 5월 20일 화요일

영화 '버킷 리스트'를 보고

정말 오랫만에 남편도 딸도 없이 오롯이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게 됐다.
일년에 한번 오는 10월의 마지막 밤도, 크리스마스 이브도, 한해의 마지막 날도 아닌데 들뜬 마음으로 퇴근후 친구들과의 약속을 바쁘게 잡았다. 평소 같으면 몸을 사리며 가능한 일찍 퇴근해 쉬려고 할 월요일. 나는 간만에 성미를 만나 잭키즈 키친에서 밀린 수다를 떨고 메가박스에서 버킷 리스트를 보았다.
처음엔 비스티 보이즈를 예매할까 하고 물었더니 너무나 쉽사리 좋다고 대답하는 전화너머 성미의 대답. 혹시 얘가 뭐든 상관없어서 대충 대답한게 아닌가 하고 오히려 영화선정에 신중해졌다. 인터넷으로 최근 영화들에 대한 평들 및 별점을 보니 비스티보이즈는 생각보다 네거티브한 반응이었다. 한편 아쉽기도 했지만 최근 아이언맨도 봤던지라 두 노인네들이 죽음을 맞기전 모험을 한다는 어찌보면 꿀꿀하고 칙칙한 플롯의 영화를 단지 별표가 다소 많다는 이유로 선택했다. 간만에 친구와 보는 영화인데 보고나서 극장에 돈버리고 온 기분일 수는 없지 않은가.
예상과 달리 비스티 보이즈를 예매 안했다고 하자 급실망하는 친구. 그 빠른 대답은 무성의한 대답이 아니라 간절히 바라던 것에 대한 급한 반가움의 표시였던 것이다. 나름의 신중한 선택배경이 있었음을 듣고 친구도 두 노인의 영화를 보는 것에 동의를 했다.

영화는 시종일관 쌈빡한 외모의 비중있는 여자 캐릭터라곤 찾아 볼 수 없고 오로지 두 원로한 배우, 잭니콜슨과 모건프리먼의 대화가 이어진다. 잭니콜슨의 깊은 주름은 더이상 귀엽지 않고, 모건프리먼의 짙은 주근깨를 계속 보는 것은 비호감을 넘어선 거부감을 느끼게 하기도 했으나 사형선고를 받은 두 노인들의 결코 가볍지않은 상황에서의 너무나 유쾌, 통쾌하다 못해 발랄한 화법은 시종일관 보는 이들에게 시원한 웃음을 자아냈다. 어쩌면 배역 나이만큼의 세월을 살았고 그 나이만큼의 연기내공이 쌓인 헐리우드 최고의 두 원로 배우들이기에 이런 해학적인 웃음을 자연스럽게 만들어 줄 수 있는것이 아닐까.
영화는 젊고 멋진 미남 미녀들을 보는 즐거움은 없으나 죽음을 앞두고 누구나 꿈꾸는 세계 각지의 명소를 돌아보는 간접경험의 즐거움을 충분히 제공해준다. 중국의 만리장성, 이집트 피라미드, 인도 타지마할, 로마, 홍콩 등 그야말로 튼튼한 육체와 앞으로 살 날들이 많은 이들조차 쉽사리 엄두를 못 낼 장소들을 짧은 시간에 호화 제트기를 타고 누빈다. 가족보다는 돈과 일만으로 평생을 살아온 잭 니콜슨도, 가족을 위해서만 살아온 인생이 후회스러웠던 모건 프리먼도 결국엔 가장 소중한 것이 자신이 사랑하는 가족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이들은 함께 만든 죽기전에 꼭 해보아야 할 것들인 버킷 리스트를 모두 실행하면서 영화를 마무리한다.

개인적으로 버킷리스트 중 눈물이 날 때까지 크게 웃기라는 항목이 가슴에 와 닿았다. 정말이지 나이가 들면서 형식적인 웃음, 감정을 덜 드러내는 웃음, 비웃음들만 늘어갈 뿐 진정 한바탕 시원하게 웃은 적이 언제였었는지 기억이 안난다.
이 영화는 인생을 살아가는데 있어 중요한 두가지 화두를 던진다.
인생에서 기쁨을 찾았는가, 나의 인생이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해주었는가.
그래, 나도 항상 내 주변인들이 나에게 기쁨을 주지 않는 것만 쉽사리 탓을 했지 내가 그들을 기쁘게 해주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는 생각해 본 일이 없다.
요즘 메마른 내가 항상 마음으로 새기는 말이 있다. '웃는 여자는 웃는 마음을 가진 사람이다.'
나이가 들 수록 사람들은 많이 웃는 사람들은 어딘가 바보스럽고 실없고 똑부러지지 못하다는 선입견을 가진다. 그리고 너무 많이 보여주면 자기를 깎아 내리는 듯이 스스로를 감추고 포장하고 쉽사리 곁을 내주지 않는다. 나 역시 내가 먼저 웃음을 주는 것이 손해를 보는 것인 양 점차 사람들을 대할 때 웃음을 잃게 되고 무표정해진다.
먼저 웃음으로 다가가는 것이야 말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해주는 첫걸음이 아닌가 싶다.
이제부터는 가까운 사람들부터 항상 웃는 마음으로 웃는 얼굴로 대해야겠다. 슬픈 사실은 무표정에 익숙해진 탓에 얼굴근육이 굳어 자연스러운 웃음이 잘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내일부터는 아름다운 주름살을 매일 만들어가야겠다.





2008년 5월 15일 목요일

Tech Media Trends

Tech Media Trends
If you’re a small company just trying to get your story told by the old “big four” of IT media — Computerworld, eWeek, InformationWeek and InfoWorld, it can be a bit bewildering. First, it’s not just reporters — it’s editors, reporters, contributing writers (freelancers and consultants), bloggers and columnists. Second, their websites are a complex interwoven mix of news and opinion addressing every conceivable information technology topic — Computerworld lists 13 “knowledge centers,” 10 “Shark Bait” reader forums, 20 columnists, 15 blog topics, and 38 email newsletters.
The point is not to say this is bad. I was talking with my friend Chris Murphy on this — a real tech media expert at my former
agency. I noted to him that in the old days, you’d find that one person to contact — and if you were smart, you’d avoid making multiple contacts at once for fear of stepping on editorial toes. But these media today are set up to let online readers choose a very narrow selection interest areas — the home pages themselves are nearly unreadable. Readers aren’t starting with the home page or the print magazine. They’re starting with the newsletters.
Here’s Chris’ take:
“Their readers are online and mostly interested in very specific topics, be it security, storage, enterprise software, servers, etc. And they want to get this news through email newsletters, or be able to find it quickly by going to a specific section on their site.”
I’d add RSS and search to the mix and I think we’re there. The increasingly skinny print editions are where readers can skim cross industry news.
The point we can take away from this is that we should look at these tech journals — and most B2B focused trade media in general – as online homes for some 40+ media outlets. For any given company, there may be a half-dozen contacts — a beat reporter, columnists, bloggers, section editors and user forums. This doesn’t mean blanketing press releases to the entire editorial staff. What it means is that the contacts you identify as interested in your field and speaking to your audience — each represent an opportunity, and require their own evaluation, approach and ongoing relationship.
It also means re-evaluating the results of your efforts — the biggest “hit” should be an online story that is pushed out in the appropriate newsletter. The next biggest should be a positive story that ranks high on search engines…or a link that generates more interest by outside media.
Having a great strategy — and a commitment to building these relationships — is key. That, and a
little luck doesn’t hurt either.

Influencer Marketing and PR’s future — Courtesy of Media Blather

I used to start new client conversations — particularly with technology companies — with a discussion of what we then called “the cascade of influence” — that set of influencers from tech gurus, industry analysts, conferences, trade shows, and journalists who influence corporate reputation and buying decisions for customers and prospects. Influence, we thought, would flow down a neat little staircase to the customer.
Today, it’s no longer a neat cascade (if it ever was), but more of a web of influence, one that connects to our sphere of professional life among friends, colleagues, professional media, bloggers, websites, experts and others.
Paul Gillin and David Strom of
Media Blather – a weekly-ish podcast that’s worth a listen – spoke to Nick Hayes last week, the co-author of a book called Influencer Marketing, that offers a compelling and, perhaps, controversial take on how to move people toward buying decisions.
Hayes’s thesis is that the influence of the broad range of non-profits, management consultants, integrators, associations, regulators, user groups, etc. makes up 50% of the buying influence on any given purchase — or more. These new influencers aren’t necessarily publishing anything, they aren’t journalists or analysts, and often “prefer to be under the radar.”
Hayes advocates that PR people be deployed to go out to broader organizations beyond the journalists and analysts — moving PR from “press relations” back to “public” relations. It’s a practice that takes a whole new set of skills, but builds on the ones we have today — building one-to-one, personal relationships, personal relationships; the ability to identify the needs of an audience, and communicate a compelling story with them.
The answer to ‘influencing the influencer’ in this world, in other words, isn’t just a focus on media relations, analyst relations, or blogger relations. It’s understanding the environment in which customers make their decisions. It’s giving marketers and PR professionals the mandate and responsibility to build relationships with a wide range of people and organizations who are important to the company’s sales success.
Hayes’ advice: PR should go back to its roots — find out how customers make their decisions. From there, it’s relatively easy to discern the web of influence that will impact customer decisions.

2008년 5월 13일 화요일

Top 10 Tips to Improve Your Media Relations Skills

You can have all the facts, know what you what you want to say, and believe that your message is important to your market, yet never get a single media placement. Could it be the way you are communicating?Listed below are 10 highly effective tips to improving your communication with the media and efficiently increasing media exposure for your company or client.
1.
Know the reporter and the publication before picking up the phone. First, build a targeted media list of the publications that may have an interest in what you’re pitching, and then determine which journalists you should be talking to at those publications. If you are pitching a portal story to a technology magazine, for instance, don’t begin e-mailing and calling all of the reporters you can find at the magazine. You will be wasting time and reducing your chances of coverage by aggravating the staff. Once you know who to target, you should also find out what he/she has recently written to understand the subtleties of their coverage area. This will help you create targeted pitches and
story ideas that are both compelling and relevant.
2.
Always know how and when a reporter wants to be contacted. Some reporters want phone calls, others prefer e-mail, and still others want news the old-fashioned way – by snail mail. In the case of breaking news, some reporters even recommend that you call them on their mobile phone if they can’t be reached at their desk. Contacting reporters inappropriately or at the wrong time – such as on deadline – can lead to damaged relationships.
3.
Clarify your message before delivering your pitch. There is nothing worse for a reporter than receiving an e-mail that is a carbon copy of a press release, or getting a call from someone that is not familiar with the company they are pitching or the news they are announcing. Develop a bulleted "fast facts" sheet, especially for phone pitches, that outlines your key message points. Most reporters are extremely busy and will give you only 30 seconds to make your case. They will not bite on your idea if you don’t offer a convincing argument.Clarify your message before delivering your pitch.
4.
When sending ideas via e-mail, always include a short, pithy pitch along with your contact information. It is important to make the reporter’s job as easy as possible so make sure to provide the most important news in the first paragraph. You should also include the company’s URL, as a reporter will often times visit the company’s Web site before calling back. Editors and reporters get hundreds of e-mails a day, so entice them into calling you for more information or, even better, to set up an interview.
5.
Be careful what you send via e-mail. Never send unsolicited e-mail attachments, as some reporters will be wary of opening them due to virus concerns, and others simply won’t take the time. In addition, always craft a catchy subject line but avoid using all caps or excessive punctuation as both tactics produce a red flag that your pitch might be a virus. Finally, never send out a group e-mail with your entire distribution list in the header. It’s impersonal and shows a lack of effort on your part


6.
When calling a reporter, introduce yourself fully, reference previous conversations to jog the reporter’s memory on who you are and why you’re calling, and ask whether it is a good time to talk. The press gets flooded with calls, so be as specific as possible. The more general you are, the less likely your chances for success. As you develop a stronger relationship with the reporter, they will know you the minute they pick up the phone, making it easier to get their ear.
7.
When you get a reporter on the phone, always ask what they are working on and how you can help. This will allow you to uncover new opportunities that will allow you to position your news by way of a different point of view. Also, be sure to provide assistance even if it won’t necessarily benefit your company or client today. Eventually, the reporter will come to you with new story opportunities – rather than the other way around.
8.
Never make promises you cannot keep. Nothing will squelch a media relationship faster than if you promise something you cannot deliver. Promise to do your best to get the reporter what they need in advance of their deadline, and always follow through. However, if you won’t be able to come through, let them know as early as possible.
9.
Follow up aggressively. While some reporters will provide coverage after one phone interview, that is often not enough. It is important to be in front of reporters on a consistent basis with compelling information that demonstrates what you are pitching is viable, credible, and worthy of coverage. Also, be sure to offer reporters the additional elements they would need to round out their story – photos, customer references, analyst references and additional sources, if necessary. You need to be able to provide these elements at the drop of a hat – so have the information ready in advance.
10.
Whenever possible, pitch by phone. This will get you better results and allow you to build the relationships you need to ensure consistent success. Plus, it’s much easier for a reporter to delete an e-mail or send a quick "no" than it is to hang up on you. When using the phone, leave one message only, and then continue to call the reporter at different times of the day (non-deadline times, of course) until you catch them live. Once you have them on the line, it is much easier to make your case, as you can engage a reporter in a conversation and handle objections as they arise.Media relations is critical to an effective public relations plan.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strong understanding of the media and how best to communicate with them. Once you develop these basic – yet key – fundamentals, you will improve message adoption, which in turn will generate better results.Peter Granat is senior vice president of MediaMap [hyperlink to mediamap.com]. Since 1986, MediaMap has developed innovative Communications Management solutions to public relations agencies and corporate communications departments worldwide. MediaMap delivers solutions that enable these organizations to centralize informationresources, manage key relationships, ensure targeted message delivery andmeasure performance.

The Power of Storytelling and the Decline of the Mainstream Media

I’ve now had a chance to reflect on the Bulldog Reporter 2008 Media Relations Summit held earlier this week, and I wanted to share a couple of thoughts.
First off, a shout-out to all the terrific folks I met at the conference and to anyone discovering this blog because of my relentless promotion of it during the conference. I hope you find lots of interesting, entertaining and actionable PR news and information and come back regularly to check what’s up.
The first deep thought I wanted to share was about the power of storytelling. Time and again during the conference, the need for becoming better and more agile storytellers came up as the essential tool for PR professionals.
What does this mean? Aren’t we already telling stories? Well, yes and no. We all try to frame our pitches and releases as stories, but too often they a) aren’t told in a digestible storytelling format and b) don’t contain enough of the human interest elements of a real story to make them compelling.
Storytelling is an art, not a science, so there’s isn’t one right way to do it. But here are some tips to get you thinking about creating better stories:
The element of time: stories need a beginning, middle and end, and that usually involves the element of time.
Challenges overcome: we all want to know how each other is faring in the world, so good stories include trials and tribulations. Victory laps aren’t nearly as interesting.
Detail, detail, detail: this can be a double-edged sword, because often we issue news chock-full of detail, but it’s the wrong kind. Product specs, for instance, aren’t interesting details that tell a story. Details that support storytelling elements such as risks taken (how much money is at stake) and people involved (team members, not spokespeople or top execs) are examples of interesting details
Novelty: good stories tell us something we didn’t already know or thought we knew. So again, your new product may be a big deal to you, but new products are released everyday. Dig a little deeper to find something truly novel about your product (how or why it was developed, risks taken, challenges overcome) and I guarantee you’ll get more coverage and interest.
Case in point: as I think I’ve made clear, I’m not interested in covering routine PR industry news about new clients or new hires. But you could take those exact same nuggets of information and tell me a story about how you won the client or why the new hire’s skill set is an example of changes in the PR industry, and now I’m interested. I’d be happy to cover it here in the Catching Flack blog.
The cool thing about focusing on storytelling is that it is platform-neutral, meaning you can tell stories in any setting, whether it’s print media, podcasts, speeches or anything in between.
That leads me to the other big observation coming out of the conference, which was the palpable decline in interest in PR’s relationship to the mainstream media. The media panels that have long been the highlight and the big draw of this conference drew far fewer attendees than in the past. Meanwhile, the track of sessions around new media and social media drew packed rooms.
You have to figure that if PR people aren’t interested in what mainstream journalists have to say, that interest in their point of view in general is on the wane. Of course, the mainstream media is still hugely influential, but you couldn’t miss this reaction by a random group of PR people as sign of the times.

Want to Be Heard? Create Media-Friendly Messages

It always amazes me when business executives want to get the greatest possible publicity for the dullest pieces of information. I think I understand the paradox: executives are naturally risk-averse, so they want to say as little as possible, while the rest of us are interested in hearing about things that are rich in the details of life: emotions, concrete examples, hard numbers, recognizable names. Sometimes, it may seem like sharing those details is risky, so we fall back on vague language like “leading” and “scalable.”
The funny thing is, even spokespeople who seem hard-wired to use these mush-words know how to talk in normal, interesting language when they need to. I mean, can you imagine your typical corporate executive coming home from a hard day and saying, “Hi, parenting channel partner. How was your most recent at-home responsibility period with our joint venture products?”
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be understood by as many people as possible, you need to use rich language that communicates about real life. If you want to get your messages into the media, you need to develop communication materials full of media-friendly information including:
Facts and figures: put some meat on those meaningless words like “leading.” Quantify with revenue figures, customer names, award-winning products and so on.
Analogies and metaphors: we learn about new things in terms of old things. That’s the power of the analogy or metaphor.
Examples: a sainted journalism professor drilled this into my head: “show the story, don’t tell the story.” That means you need to give examples and information that illustrate the story.
Emotions: even business is full of drama and risk. Figure out what you can share and tell people. No one wants to be bored.
Connecting to pop culture and current events: a different version of learning about new things through their connection to familiar things.
Why now: Whether you’re trying to get media or using your messages for other audiences (hint: these rules apply there, too), people want to know why they should care now, so that they can make some space in their minds for the information you want to share
The great thing about media-friendly messages is that they are actually platform-neutral (how’s that for a buzz phrase!). They can be used in print, on TV, in blogs, newsletters, podcasts, speeches, employee communication, investor communication — the possibilities are endless.

How to Give Great Presentations

I’ve heard a ton of people give advice about presentations, and most of it, in my humble opinion, is bad advice.
Tips such as “gesture with your hands” are not bad tips, per se, but they aren’t geared to the needs of people who actually have to learn to give better presentations. If you’re at the level of learning how to use your hands better, you’re an advanced presenter. And most of the people I see are so far from advanced it’s not funny. They need fundamental recommendations for giving great presentations.
That’s why I developed my list of the Top 10 Tips for Giving Great Presentations. These are designed to be fail-safe tips that, if followed, will surely improve the quality of any presentation.
Here are the first five (second half tomorrow):
Familiarize yourself with the venue: Check out the room: the configuration, speaker location, microphones, seating. This will increase your comfort level and decrease uncertainty while speaking
Know your audience:Who’s in the audience? What is their knowledge level of your subject? Will there be competitors in the room?
Know the context:When will you speak? How long? Who else is speaking? How will Q&A be handled?
Establish rapport: You don’t have to start with a joke, but it’s helpful to have a brief icebreaker at the beginning to show your humanity. Example: “I’m really glad to be speaking to you today and I’m honored to be on the same panel as the distinguished Dr. Smith.”
Look at individuals in the audience: Don’t stare into space, don’t watch your own slides, or look down at your shoes. Look into the faces of the people listening, one at a time. Speak to one, then casually turn your attention to another.
And here’s the uber-message: it’s all about the content and the storytelling. If your story makes sense because it has a beginning, middle and end, if you organize your speech to take the audience from Point A to Point B in a reasonable amount of time, then everything else will fall into place. If your presentation is an organizational mess, no amount of coaching or tips will save it.


Yesterday, I shared the first five of my Top 10 Tips for Giving Great Presentations. Today’s post continues with the second half of the list:
Simplify your presentation: No matter how technical your audience is, they aren’t as versed in your subject matter as you. Simplify difficult concepts, explain jargon, give examples, use anecdotes.
Start by giving the audience a roadmap to follow: Different than simply stating your “agenda” – the roadmap tells them the 3 or 4 key concepts you want them to take away.
Flag the concepts you want to make sure they don’t miss: Flags direct the audience’s attention to the most important material and bring wandering minds back to your presentation. Examples of flags: “Here’s the most important point…” “Here’s what I really want to get across…”
Repeat your points at the end: Don’t assume the audience was following your presentation to the letter. Include a brief summary slide that re-emphasizes your key points.
Relax: It’s not as stressful a situation as you think. The audience is rooting for you to do a good job and will happily forgive small gaffes or lapses. Give yourself permission to make small mistakes – everyone does. Don’t panic if you make a more serious mistake – stay calm, take your time and resolve the problem carefully.
And here’s a repeat of my “uber-message” from yesterday — it’s all about the content and the storytelling. If your story makes sense because it has a beginning, middle and end, if you organize your speech to take the audience from Point A to Point B in a reasonable amount of time, then everything else will fall into place. If your presentation is an organizational mess, no amount of coaching or tips will save it.

사자성어로 풀어 보는 웹2.0

사자성어로 풀어 보는 웹2.0

십시일반(十匙一飯), 점입가경(漸入佳境), 동가홍상(同價紅裳), 다다익선(多多益善). 모두 사람의 본성과 관련된 사자성어입니다. 예로부터 전해오는 이 표현 속에 우선은 소비자를 위한 기술로 출발해 서서히 기업에 확산되고 있는 웹2.0 기술의 정신이 숨어 있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사자성어를 통해 기술보다는 인간을 중심에 두고 사람들이 함께 무엇이든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웹2.0의 기본 정신을 만나 봅니다.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사자성어는 만고불변의 진리를 담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만큼 다양한 실제 상황에 적용해 그 뜻이 통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임원진을 위한 뉴스레터 이번 호에서는 사자성어 중 대표적인 몇 가지를 가지고 요즘 유행하는 웹2.0의 숨은 사상을 풀어볼까 합니다.
십시일반(十匙一飯)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말도 있지만 역시 서로 조금씩 자신이 가진 것을 기꺼이 나누면 한 사람을 먹여 살릴 밥 한 공기가 나온다는 십시일반이 더욱 가슴에 와 닿습니다. 웹2.0의 가장 기본이 되는 사상도 바로 십시일반의 정신입니다. 우리나라와 멕시코 사람들 모두 자신이 가진 돈을 조금씩 모아 차례로 곗돈을 타는 모습도 십시일반에 가깝습니다. 웹2.0은 기술이 아니라 인간과 사회성, 교류, 협력을 통한 창조의 문화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바로 위키(wiki)입니다. 얼핏 키위와 비슷한 이 위키라는 단어는 하와이 말로 "빨리빨리" 입니다. 이 역시 우리 문화와 통하는 구석이 있죠? 그렇다면 왜 빨리빨리인가? 혼자서 하려면 오래 걸릴 일을 여러 사람의 아이디어와 지식, 경험을 조심씩 보태면 금세 밥 한 공기를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실제로 위키는 웹사이트 같기도 하고 워드 문서 같기도 한 기술입니다. 누구나 관심 있는 위키 웹 사이트에 들러 내용을 살펴 보다가 잘못된 내용을 발견하거나 좋은 생각을 더하고 싶으면 바로 편집 버튼을 눌러 자기 입맛에 맞게 고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여러 사람의 생각을, 그러니까 밥 한 숟갈 더하기 쉽게 만들어 놓으니 밥 한 그릇이 빨리빨리 만들어 집니다.
웹2.0 시대를 살아가는 경영인의 자세는 어떠해야 할까요? 아이팟(iPod)으로 높은 주가를 올리고 있는 애플(Apple)의 모습에서 힌트를 얻어 볼 수 있습니다. 과거에 애플은 그야말로 독불장군 식으로 혼자서 모든 일을 처리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그야말로 변화에 "빨리빨리" 대응하기는 어려웠죠. 결국 자신이 만든 회사에서 쫓겨난 스티브 잡스 회장은 몇 년 후 다시 애플에 복귀합니다. 이번에는 십시일반의 정신을 살리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그게 가장 빠르고 정확한 길이기 때문입니다.애플은 최근 출시한 아이팟 터치(iPod Touch)를 통해 터치스크린의 장점을 활용한 화려한 미디어 플레이어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겉으로 드러난 화려함에 가려 크게 눈에 띄지 않지만 애플은 소비자의 눈으로 언제 어디서나 음악을 듣고 맘에 드는 곡을 구하기 쉽게 하고자 합니다. 이번에는 스타벅스와 손을 잡았습니다. 매장에서 흘러 나오는 곡이 아이팟에 바로 표시가 되고 원하면 구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죠.
점입가경(漸入佳境)다른 기술과 달리 웹2.0은 직접 체험해 본 사람만이 그 재미를 알고 갈수록 푹 빠져들게 됩니다. 웹2.0은 무엇이 그리 특별한 걸까요? 그건 바로 사람과 사람을 이어준다는 점입니다. 예컨대 백일 지난 딸 아이가 깔깔거리며 웃는 모습이 귀여워 유튜브(YouTube)에 동영상을 올려 지방에 있는 부모님과 함께 봅니다. 그런데 바다 건너 미국에 있는 딸 가진 다른 아빠도 이를 보고 친구 삼자고 연락을 합니다. 결국 관심사가 비슷한 사람끼리 만나기가 쉽다는 말입니다.인간은 이야기하기를 좋아하고 대화에 푹 빠지면 시간가는 줄 모릅니다. 웹2.0은 그렇게 복잡한 기술이 아닙니다. 그저 자신의 관심사를 찾아 비슷한 사람을 우연히 만날 기회를 제공하는 장터를 만들어 주는 기술로 보면 좋습니다. 먹을 거리도 있고 볼 거리, 놀 거리도 풍성한 장터. 가끔은 그곳에서 광대놀음도 하며 지내다 보니 갈수록 빠져들게 됩니다.
동가홍상(同價紅裳)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라 했습니다. 이는 우리 민족뿐 아니라 남녀노소 불문하고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이치입니다. 그래서 굳이 MP3 플레이어가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그냥 예쁜 아이팟을 갖고 싶은 것입니다. 웹2.0은 같은 정보나 서비스라도 사용하는 사람에게 편하고 보기 좋게 만들어 줍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AJAX 기술을 적용한 사용자 친화적인 분석 기능입니다.마치 웹이 아니라 자신의 데스크톱 컴퓨터를 쓰는 듯한 풍부한 기능과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에도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웹2.0 기술과 함께 자라난 젊은 세대가 직장을 구하고 일을 시작하면 그 만큼 쓰기 편한 정보 환경을 기대하고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점에서 SAP를 비롯한 여러 IT 기업은 사용자의 업무 역할을 중심으로 꼭 필요한 정보와 서비스를 한 눈에 파악하도록 제공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다익선(多多益善)마지막으로 많을수록 좋다는 다다익선이 있습니다. 웹2.0은 십시일반의 정신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자금, 에너지, 아이디어, 열정을 나누는 장터와 같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과거에 웹이 확산되면서 네트워크 효과가 널리 각광받은 적이 있습니다. 네트워크 효과는 한 마디로 나 혼자만 알면 재미가 없다는 진리를 가리킵니다.예컨대 골프에 재미를 붙여 열심히 연습을 하지만 세상에 혼자서만 골프를 친다면 그게 무슨 재미입니까? 한 사람이라도 더 참여해 경기를 하면 더욱 다양한 변수도 있고 그 만큼 더 재미있는 경기를 즐길 수 있습니다. 웹2.0의 기본 전제도 이와 같습니다. 참여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먹을 것도 볼 것도 즐길 것도 더 많아져서 더욱 찾고 싶은 장터가 바로 웹2.0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을 놓치면 모두를 잃는다웹2.0의 문화를 이해하려면 사람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인간의 본성이 무엇인지, 왜 그토록 선뜻 자신이 가진 지식과 열정과 아이디어를 나누려 하는지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이해 없이 위키나 블로그를 단순히 기술로만 대한다면 아무리 기술을 도입해도 효과가 없습니다.독불장군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전에 없던 무언가를 함께 만들어 가는 공간, 자신처럼 딸 가진 다른 아빠에게 선뜻 말을 걸고 미래를 향해 함께 걸어가는 공간. 소비자의 아이디어와 경험, 기술력을 받아들여 제품을 혁신하고 정말로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대. 이것이 바로 십시일반의 참여정신으로 일구어가는 웹2.0 장터의 모습입니다.

박범순 팀장/ SAP 코리아

2008년 5월 12일 월요일

기업이 주목해야 할 '빅 씽크' 전략

기업이 주목해야 할 '빅 씽크' 전략

[북데일리] ‘체험마케팅’의 대가로 불리는 번트 슈미트. 그는 누구보다 한국을 잘 이해하는 외국인 경영학자다. 15년간 한국을 방문한 횟수는 무려 50번 이상. 최근까지 연세대 경영대학원 교수를 겸임했고 현재는 삼성, 롯데, 아모레퍼시픽 등의 경영 컨설팅을 담당하고 있다.
이런 그가 최근 <빅씽크 전략>(세종서적. 2008)을 펴냈다. 여기서 ‘빅싱크’, 즉 ‘큰 생각’은 세상을 바꾸고 시장을 놀라게 하는 창조적이고 대담한 아이디어를 뜻한다.
슈미트 교수는 이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트로이 목마’ 이야기를 꺼낸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아가멤논은 트로이 성을 함락시키기 위해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갔다. 하지만 10년이 지나도 성벽을 무너뜨리진 못했다.
이를 해낸 건 오디세우스였다. 그는 거대한 목마를 만들어 트로이에 선물로 줬다. 병사를 숨긴 채였다. 밤이 되자 병사들이 목마 밖으로 나왔고 성을 장악하는데 성공했다. 큰 생각으로 하루 만에 전쟁을 끝낸 것이다.
저자는 이런 일이 비즈니스 세계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고 말한다. 그는 큰 생각으로 성공을 이끈 대표적인 기업으로 MP3 플레이어 아이팟을 만든 애플, 유기농 식품 판매의 선구자 홀푸드. CEO와 CMO(최고마케팅책임자)를 상대로 최고급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 IBM, ‘진정한 아름다움‘ 광고로 미에 대한 고정관념을 깬 유니레버, 오페라의 이미지를 바꾼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극단 등을 꼽는다.
이와 반대 상황에 처한 기업으로는 코닥, 제록스, 리바이스, AOL 등이 있다. 그는 이들 모두 복지부동, 편협한 시각, 위험 회피, 단기 목표와 같은 ‘스몰 씽크’, 즉 ‘작은 생각’에 매달려 내리막길에 접어들었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큰 생각을 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저자는 다음과 같은 ‘빅 씽크 전략 6단계’로 설명한다.
▲새 아이디어 찾아내기
먼저 단순한 분석 도구를 뛰어넘어야 한다. 새로운 관계성을 찾는 게 중요하다.
그러려면 겉보기에 무관한 것 같은 개념들을 연결해 새로운 연관성을 찾아야 한다. 다른 업종의 최우수 사례도 참조해야 하고 업계 내 고정관념에 질문을 던져야 한다. 동시에 현재라는 시간 틀에서도 벗어나야 한다. 또 아이디어가 조직 내부에만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아이디어 발굴 과정에 반드시 고객을 참가시켜야 한다.
▲아이디어 평가하기
1단계에서 찾아낸 다양한 아이디어 중 좋은 것을 선택하는 단계다. 이때 회사 내 소수 의사결정권자들에게 평가를 맡기면 안 된다. 이런 게 바로 작은 생각 방식이다. 가능한 참여범위를 넓혀야 한다. 다음에는 지속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지, 또 시장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아이디어를 평가해야 한다.
▲아이디어를 빅 씽크 전략으로 만들기
선택한 아이디어를 전략으로 바꾸는 단계다. 이 때 상반, 통합, 핵심, 초월전략 등 4가지 방법이 있다.
먼저 상반은 기존 사업전략을 완전히 뒤집어 생각해 보는 것이다. 자동차 업계가 고급차에 집중하고 있을 때 폭스바겐이 미니 쿠퍼를 내세워 성공한 예가 대표적이다. 통합은 어울리지 않는 두 개의 아이디어가 어떻게 어울릴 수 있는지 시험해 보는 전략이다.
핵심은 한 가지에 집중하는 것이다. 검색에 초점을 맞춰 성공한 구글이 좋은 예다. 초월전략은 아이디어를 극한까지 몰고 가 시장의 흐름을 바꾸는 전략이다. 예로 버진그룹의 ‘우주여행’계획을 들 수 있다.
이런 4가지 방법은 따로 움직이면 안 된다. 오케스트라의 화음처럼 동시에, 또한 악보를 그리듯 계속 수정하며 진행해야 한다.
▲빅 씽크 실행하기
큰 생각 전략을 실행하려면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다. 마치 배를 산으로 밀고 가는 것처럼 말이다. 조금이라도 쉽게 움직이려면 먼저 조직원들의 꿈에 파고들어야 한다. 또 조직 전체를 전략에 맞게 뜯어 고치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
▲빅 씽크 이끌기
리더십이 중요하다. 큰 생각 프로젝트를 맡을 배짱, 이를 뒷받침할 열정. 마지막까지 포기 않는 끈기를 갖춰야 한다. 또 꾸준히 동기를 유지하려면 여러 전문가와 상담하고, 직업과 사회생활이 다양한 모임에서 활동해 자극을 받아야 한다.
▲빅 씽크 유지하기
큰 생각으로 하나의 프로젝트만 성공하는 게 전부가 아니다. 궁극적으로는 큰 생각을 기업의 심장에 박아둬야 한다. 그러려면 큰 생각 두뇌를 가진 직원들이 필요하다. 이들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있으면 어린이들처럼 흥분하며 눈이 빛나는 사람들이다.
이를 양성하려면 조직의 장벽을 허물고 서로 마음을 터놓는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야 한다. 또 일을 놀이로 여길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빅 씽크 전략>은 한국 기업인이라면 꼭 한 번 읽어볼만한 책이다. 세계적 기업들에 비해 세계 시장 선도력이 약한 국내 기업이 귀담아둘만한 전략이 가득하다. 저자와 한국과의 깊은 인연 때문인지 한국 사례가 여럿 보이는 점도 눈길을 끈다.
[북데일리 제공]

웹2.0 시대의 불편한 진실

웹2.0 시대의 불편한 진실윤석찬 (다음 R&D 센터 팀장) 2008/05/13


국내에서 한참 웹 2.0 담론이 벌어지던 2006년 이맘때쯤의 이야기다. 어떤 진보 단체로부터 자신들의 토론에 나와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이른바 개방과 공유의 웹 2.0시대에 기술적 도구들이 어떻게 개방된 사회적 소통을 만들 수 있는가 하는 점을 이야기해 달라고 했다.요청을 정중히 거절하면서 “웹2.0은 플랫폼으로 웹(Web as Platform) 즉, 컴퓨팅 역사의 변화에서 또 하나의 독점적 기술 가치 시대를 예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과장이나 확대 해석을 경계해야 한다.”는 취지의 답장을 보낸 적이 있다.물론 웹2.0 테마는 닷컴 버블을 가져온 집중형 포털 모델과 오프라인 사업을 온라인으로 그대로 가져오던 시대에 종지부를 찍고 초기 웹이 가졌던 분산과 공유의 가치를 기반한 비즈니스에 대한 재평가라는 분명한 의미가 있다. 특히, 데이터 개방과 공유를 촉진하는 기술들을 이용하고 장려 함으로서 웹 본연의 가치로의 회귀라는 측면이 강하다. 하지만, 시각을 달리해 컴퓨팅 산업의 측면으로 보면 웹 플랫폼이라는 가치 변화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대체에 불과하기 때문에 개방과 공유가 점점 늘어나는데도 플랫폼 독점은 계속 되는 아이러니가 생기고 있다.


■소셜 플랫폼의 개방과 독점의 딜레마지난 주 인터넷 업계의 핫이슈는 소셜 네트웍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들이 발표한 데이터 개방에 관한 것이었다. 세계 최대 SNS인 마이스페이스(MySpace)는 데이터 이동성(Data Portability)이라는 공개 기술 규격을 을 수용해 야후, 이베이, 트위터 및 포토버켓과 사용자 정보 및 프로필, 친구 정보 등을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경쟁 관계에 잇는 페이스북(Facebook)도 이와 유사한 페이스북 커넥트(Facebook Connect)를 발표하고 사용자 기반 뉴스 사이트인 디그닷컴(Digg.com)과 사용자 정보를 공유한다. 페이스북은 외부 업체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서드파티 플랫폼을 제공해 큰 반향을 얻은 첫 SNS 이다. 이들 사이트와는 달리 오픈 소셜이라는 개방형 소셜 네트웍에 공을 들여온 구글(Google)도 이에 질세라 자사의 이들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프렌드 커넥트(Friend Connect)"를 발표했다.하지만, 웹 2.0의 황태자로 여겨지는 이들 SNS 사이트들은 실제로는 내부 데이터를 폐쇄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자신들의 가치를 높여 왔다. 페이스북은 여전히 오픈 소셜 진영에 합류하지 않고 있으며, 새로 발표한 개방 전략 역시 뜻을 같이하는 파트너에게만 공개될 가능성이 크다. 이는 마이스페이스나 구글도 크게 다르지 않다. 모두 알다시피 소셜 네트웍을 기반한 헤게모니 싸움이 기반에 깔려 있기 때문이다.이들은 웹을 플랫폼 시켜 개방형 사업 전략을 적절하게 구사함과 동시에 개방 기술을 이용해 자신들의 독점력과 폐쇄성을 엄폐하고 있다. 데이터 이동성이라고 불리는 기술 규격 즉, 오픈 ID, OAuth, 마이크로포맷, RSS, XFN 등으로 마치 데이터가 분산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보이지 않는 플랫폼의 의존성을 더 높여 주는 결과를 만들어 내고 있다.

■오픈 API, 개방이냐 독점력 강화냐뿐만 아니라 개방형 표준(Open Standards), 오픈 API, 오픈 소스(Open Source Software) 등은 웹2.0 기술적 배경으로 가장 많이 꼽히는 것들이다. 이들은 사용자의 참여와 자발적 공헌 등을 담보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대안이라는 큰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2000년대에 들어 주목 받기 시작한 기술적 가치들이다.하지만 1990년대를 풍미했던 소프트웨어 시대에는 독점적이고 폐쇄된 가상 머신(VM) 위의 API를 이용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왔다. SW 엔지니어였다면 누구나 닷넷이냐 자바냐를 고민했던 시절이 있었다. 오늘날 웹 서비스 업체들이 제공하는 오픈 API는 핵심인 데이터를 누구나 쉽게 구현 가능하고 어디에서나 적용할 수 있는 간단한 표준적인 기술들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매쉬업(Mashup) 사례들이 나오고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개방 및 협력을 주창한다.이러한 오픈 API의 처음 시작은 구글, 아마존, 이베이 같은 업체들이 타사와 파트너쉽을 유지하기 위해 쉬운 구현을 위해 이용해왔던 기술을 공공에 개방한 것들이다. 구글은 이 기술을 이용해 야후, AOL 등에 유료 검색 서비스를 제공해 왔고, 아마존은 전자 상거래 제휴에 이용하고 있으며, 이베이는 판매 딜러들의 편의를 위해 제공해 왔다. 그들의 데이터는 웹에 분산되어 사방에 존재하지만 엄청난 이익과 함께 사실상 데이터 독점력을 키워 왔다. 많은 웹 2.0 스타트 기업들이 이러한 유산을 이어 받았다. 사용자를 어느 정도 확보해 좀 뜨기 시작하면 오픈 API를 만들어 외부 개발자를 유혹하고 조금이라도 더 많은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려 한다. 국내에서도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을 중심으로 다양한 오픈 API를 제공 하고 있으며, 마치 개방형 기술 마케팅 홍보 수단으로만 이용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사 서비스 독점력을 더 키우고 싶어한다. 만약 네이버와 다음이 똑같이 검색 API를 제공한다면 누구의 것을 선택할 것인가 하는 것이 그 답이다.

■인력 공급처로서만 오픈 소스 활용?구글을 비롯하여 많은 인터넷 기업들이 오픈 소스를 지원하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이다. 구글은 다수의 유명 오픈 소스 전담 개발자들을 채용해 왔고, 대학생 대상 오픈 소스 참여 행사인 Summer of Code, 오픈 소스 프로젝트 호스팅 등을 지원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외부 커뮤니케이션이 폐쇄적이고, 내부 기술의 공헌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구글에게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지원은 인력 공급처로서 의미가 더 크다고 하겠다. 오픈 소스의 맹주라 할만하 IBM, 어도비(Adobe), 썬 마이크로시스템 조차 비 핵심 플랫폼을 위주로 오픈 소스화 하여 커뮤니티의 힘을 빌어 자체 S/W 제품을 만들고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사실상 오픈 소스가 외골수 같은 긱(Geek) 문화에서 벗어나게 된 계기도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원격 협업 생산력 향상과 비싼 기업형 소프트웨어를 살수 없었던 인터넷 기업에서 사용해 준 데 힘입은 바 크다. 오픈 소스는 거대 상용 독점 소프트웨어 벤더의 대항마 혹은 저비용 고효율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대안으로서 장려되어 왔기 때문이다. 최근의 성공에도 산업적 필요성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오픈 소스 지원 활동을 너무 감상적인 측면에서만 바라볼 수 없는 것이 이런 이유에서이다.오늘날 오픈 소스 기반 S/W 플랫폼 변화는 저비용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술 인력들의 교육 비용을 낮춤과 동시에 기존 S/W 산업을 서비스형으로 변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전통적 S/W 업체에는 큰 위협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MS에게는 구글 보다는 이러한 변화 자체가 위협이 된다.

■우리에게 개방 기술은 완전 소중한 가치아이러니하게도 개방형 기술 덕분에 선두 업체들의 데이터 플랫폼 장악력이 높아지고 및 기술적 합종연횡이 쉬워 지며 원활한 기술 인력 수급 등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물론 데이터를 제어 하거나 공유할 수 있는 접근성을 향상시켜 웹 생태계가 더욱 풍요로워 지고 있지만, 개방형 기술은 쓰임에 따라 양면성을 띠고 있는 것이다.소수의 승자만이 존재하는 폐쇄적 국내 인터넷 산업이 해외와 같이 풍요로운 산업적 생태계로 재편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좀 더 많은 개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몇몇 거대 회사가 모든 웹 서비스를 수직 계열화 가능한 상황에서 개방할 필요가 있느냐는 회의론도 있다. 오히려 우리가 과연 개방을 통해 공존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이룰 수 있는 규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차라리 대표 주자만을 밀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가지게 할 것이냐는 주장도 나온다.개방형 기술이 분산과 상호 공존 보다는 집중화의 방편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여지도 함께 존재하는 찜찜함을 내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태계는 양육 강식의 먹이사슬이 존재하며 결국 최상위 포식자가 독식하는 구조이다. 하지만 각 개체들이 상호 공존할 수 있도록 영양 물질들이 순환되기 시작하면 혁신적인 개체들이 나올 수 있는 토대가 된다. 따라서, 개방형 기술들은 산업적 요구와 비즈니스적 이해를 합치할 수 있는 바로 이러한 완전 소중한 가치이다. 국내 인터넷 산업을 대표하는 주자들이 일부러라도 개방 기술을 도입하고 다른 개체들과 교류를 시작하는 것은 양쪽 측면에서 모두 필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중소 사이트와의 교류와 상생으로 활기가 넘치는 벤처 시대가 부활할 수 있을 것이다. @

2008년 5월 6일 화요일

시맨틱 웹과 웹2.0을 결합한 '서비스 웹3.0'




현재 발은 웹2.0을 딛고 눈은 3.0을 바라보고 있다. 우리는 인터넷시대,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면서 새로운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우리는 국제사회에서도 앞선 국가로 분류되며 한껏 자존심을 세웠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진화속도는 너무 빨라 한치 앞을 예측하기 어렵다. 우리는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체험하는 딜레마 속에 갇혀있다. 여기서 웹경제의 진화방향을 통해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해 보자.


웹2.0이 각 산업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웹2.0의 개념은 아직도 완전히 정립되지 않았다. 웹2.0은 방법적인 측면에서 볼 때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 공유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현상이다.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요즘에 와서 유무선을 포함해 네트워킹과 컴퓨팅이 가장 활발하게 이뤄진 적이 없다. 기술적으로는 웹이라는 플랫폼 위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 소프트웨어)을 사용자들이 자유자재로 운용하는 것을 말한다. 웹3.0의 개념은 아직 논란이 되고 있는데, 뉴욕 타임즈의 존 마르코프(John Markoff)가 웹3.0은 컴퓨터가 온라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나의 결론을 끌어내는데 필요한 효율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이라고 정의했다. 분명한 것은 웹3.0이 현재 동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웹2.0에 시맨틱 웹(Semantic Web)의 개념을 추가한 것이라는 점이다.


웹3.0은 시맨틱 웹의 부분집합시맨텍 웹은 웹의 창시자인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와 밀러 등 유명한 학자들이 추진 중이다. 최근 등장한 온라인 TV 서비스인 주스트는 포털 사이트 야후의 음식 섹션에 올라와 있는 정보들을 조직화해 검색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는데, 주스트와 유사한 서비스가 웹3.0의 초기 단계가 될 것이란 분석도 있다. 밀러가 최근 매사추세츠 종합 병원, 하버드 대학교와 함께 수행한 연구에서는 병원의 환자 기록들을 시맨틱 웹 기술을 이용해 저장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미국 정부도 국방성의 데이터 조직화 연구에서 시맨틱 웹 표준을 따르는 기술을 연구한 바 있다. 이러한 연구 주제는 모두 웹3.0과 상통하는 것들이다. 버너스-리, 밀러와 함께 영향력 있는 시맨틱 웹 주창자 중 한 사람인 짐 헨들러(Jim Hendler)는 현재 웹3.0이라고 불리는 내용이 실제는 시맨틱 웹의 부분집합이라고 주창하기도 한다. 시맨틱 웹이 실제 산업 분야에서 응용되기 시작하는 징후는 차츰 보이고 있다. 캘리포니아의 여행 전문 웹 사이트인 리얼트래블의 경우, 이 사이트 구축에는 시맨틱 웹 전문가인 탐 그루버(Tom Gruber)가 참가했는데, 웹 2.0의 태깅, 블로깅과 시맨틱 웹에서 많이 논의돼온 데이터 조직 방식이 잘 혼용된 사이트로 평가 받고 있다. 영국의 갈릭 역시 시맨틱 웹 기반으로 RDF(Resouce Description Framework)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사용자들에게 개인 정보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RDF는 통상적으로 XML의 뒤를 이어 시맨틱 웹의 기본 프레임워크가 될 것으로 자주 거론되는 기술이다. 그런 의미에서 웹3.0을 정의하는 시맨틱 웹이란 웹2.0을 구현하기 위한 차세대 웹 기술을 통틀어 지칭한 공식용어이다. 즉, 컴퓨터가 정보의 뜻을 이해하고 논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웹 기술이다.


웹3.0, 인공지능 검색 기능현재 일반적인 웹은 정보들이 단순하게 링크만 돼 있지만, 시맨틱 웹에서는 컴퓨터가 웹 데이터를 해석해 사람이 하는 일을 대신해 준다. 이와 같은 기술이 구현될 경우 웹은 데이터와 데이터와의 통신이 개인과 데이터의 업데이트나 개인과 개인과의 대화보다 중요하게 될 전망이다. 즉, 이미 구축된 다양한 데이터와 이용자의 패턴을 추론해 사용자에게만 안성맞춤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웹 환경을 말한다. 웹3.0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개인화와 논리적 추론이 가능한 인공지능 검색기능이다.


웹3.0 검색엔진이 본격 개발되면 개인 컨설팅과 다양한 분야에서 웹이 개인 비서처럼 역할을 하는 진정한 의미의 개인화가 가능해 진다. 웹3.0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과 시기는 과학자들과 상업적 가치에 주목하는 기술자들 사이에서 치열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이 등장하면 오늘날의 웹2.0보다 훨씬 더 큰 상업적 가치를 지닐 것이라는 데 모두 동의하고 있다. 웹상의 정보 가치들에 대한 관계를 탐지하는 기술을 개발 중인 신생사인 '레이더네트웍스'는 여행과 영화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대화자들의 의견이 오가는 교제 사이트의 내용까지 탐지하려 노력하고 있다. 레이더네트웍스를 창업한 노바 스피백은 이것을 '월드 와이드 데이터(WWD)'로 칭하면서 "우리는 문서가 연결된 웹에서 데이터가 연결된 웹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고 말한다.


레이더측 기술은 텍스트나 숫자와 같은 구체적인 아이템보다는 동료나 친구, 형제간 대화내용을 저장하는 차세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기반하고 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예컨대 검색한 호텔 수순이 '좋다', '거의 좋다', '대체로 무난하다' 등 미세한 판단까지 가미된 답변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요즘 웹2.0 시스템의 여행지 사이트들을 이용하면 다른 사람들이 남겨놓은 수없이 많은 코멘트 목록들을 보게 되지만, 웹3.0 시스템을 이용하면 코멘트들이 가치순서에 따라 정열돼 있고 논리적 연역에 따라 가장 적합한 답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오늘날 웹2.0 시대는 모든 부품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레고 단계'라면, 2010년경부터 본격 서비스될 웹3.0시대는 기계들이 지능적인 일을 하기 시작하는 것을 의미 한다. 그리고 시맨틱 웹과 웹2.0을 결합해 '서비스 웹3.0'이란 개념을 만들어 낸 시맨틱 기술의 권위지인 DERI 연구소 디터 펜젤 교수에 의하면 "향후 10년 내에 약 10억개 이상의 인공지능을 장착한 기기들이 세상에 등장할 것"이라고 밝히며 "이 기기들이 서로 대화하고 서로의 존재를 감지하는 등을 통해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한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서비스 웹3.0'은 사용자의 접점에 웹2.0을 위치시키고 그 뒷단에 시맨틱 기술을 구현하는 것이다. 또 '서비스 웹 3.0'에서는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형태로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고 있는 위키, 블로그나 태깅과 같은 웹2.0 서비스를 도입함으로써 사용자들의 활동을 유도하고 그로 생성되는 데이터들의 처리나 서비스를 구동하는 내부 시스템에는 시맨틱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 처리를 사람의 간섭 없이 자동으로 진행하게 된다.


특히 '서비스 웹3.0'이 구현되면 PC나 노트북, 또는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휴대용 기기에서도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지금처럼 웹브라우저를 통한 인터넷 사용과 휴대폰을 통한 무선 인터넷이 각각 다른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웹2.0 서비스들을 통해 생산되는 정보들도 하나의 기술로 서로 묶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기술 트렌드는 웹이라는 가상공간이 아닌 유비쿼터스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물리공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대표적인 기술로는 조용한 기술, 상황인식기술 등이다. 이와 같은 기술들은 필요한 서비스를 개인이 느낄 때 조용하게 다가와서 실현해주는(우리가 인식하지 못하지만 우리 주변에 존재)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개인마다 처한 상황과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추론할 수 있는 문맥 및 언어에 대한 연구가 더욱 고도화되어 갈 것이다. 물리공간에서의 유비쿼터스화를 가상공간에서는 새로운 웹 어플리케이션의 등장으로 가속화될 것이며 차세대 웹은 언제 어디서나 어떤 기기에서나 어떤 국가에서나 어떤 언어 환경에서나 접속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환경에서의 플랫폼이 될 전망이다.


IBM, 구글 등 웹3.0 개발에 앞장뉴욕타임스는 최근 '상식을 갖춘 웹?(A Web guided by common sense?)'이란 제목의 기사를 통해 웹3.0 시대가 오고 있다고 예견했다. 이에 따르면 컴퓨터 과학자들과 IT분야에서 쏟아져 나오고 있는 신생기업들은 최근 웹 검색에 따른 결과가 단순한 '컨텐츠 목록'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식 컨텐츠를 제공하는 수준이 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 서비스를 상용화하기는 아직 시기상조라는 회의론이 많지만 IBM과 구글 등 거대기업들은 웹3.0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그러나 웹2.0과 마찬가지로 웹3.0 또한 단순히 마케팅 용어, 즉 마케팅 버즈(Buzz)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라는 비판도 만만치 않다. 어쨌든 우리사회는 새로운 변화를 갈망하고 있다는 점만큼은 거부할 수 없는 사실이다. 웹2.0의 반성을 통한 새로운 버전 업그레이든, 단순한 마케팅 용어이든 분명한 것은 조만간 사용자(시청자)의 주목을 끌어 새로운 수익을 이끄는 회사가 등장할 것이다. 관련 산업들은 또다시 변화를 추구해 갈 것이다.


이같은 변화 속에 웹3.0이 보여줄 현상을 어떤 것일까? 전문가들은 웹서버?데스크톱PC?모바일의 경계가 사라지는 현상을 웹2.0의 또 다른 미래상으로 꼽는다. KT 경영연구소 미래사회연구센터는 "모든 매체 간 경계가 사라지면서 현실적인 유비쿼터스가 구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맨틱웹 연구 업체인 씨컴테크도 "개인이 갖게 될 자료가 많아지고 개인용 컴퓨터의 기능이 향상되면서 포털사이트가 아닌 개인도 컴퓨터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이에 따라 현재 연간 1000억원 이상의 수익을 내고 있는 대형 포털에 대한 경고도 나오고 있다. "기존 시장을 선점한 주요 포털들이 네트워크 수평화에 대한 대안을 못 내놓은 상태"라며 "검색과 네트워킹 기능이 사용자 PC 차원으로 내려오게 되면 포털사이트라는 것 자체가 필요 없어지는 상황이 올 수 있다"고 서울대 사회학과 장덕진 교수는 지적한다.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면 결국 스스로 그 변화에서 멀어지고 종국적으로 이 사회에서 사라질 뿐이다. 오늘날 혁신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 요소는 자만심이다. 미국을 비롯해 서구 유럽과 중국, 인도, 일본 등도 이미 우리가 가지고 있던 가장 큰 장점인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를 이미 완료했다. 이제 우리가 장점이라고 주장하던 요소가 이미 세계적으로 보편화됨으로써 그 장점은 희석되고 있다. 이런 때 외부의 혁신을 흡수하고 확대 재생산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래도 우리는 외국이 넘보지 못할 브로드밴드 모바일 환경을 경험하고 있고 DMB, 와이브로(WiBro), 홈 네트워크 등 다른 나라들이 부러워하고 있는 디지털 환경을 구축해 가고 있다.

웹3.0시대, 진정한 글로벌 기업 나와야버전의 업그레이드는 변화를 의미한다. 이미 식상해진 웹2.0을 뛰어넘어 웹3.0이라는 혁신시대로 직진하고 있는 환경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개인이든 기업이든 바로 그 변화를 간파하는 것이다. 위기로 느끼는 우리의 현 산업을, 디지털 환경을 자산으로 탈바꿈시켜 글로벌화로 나아가면 어떨까? 이젠 우리기업들도 내부에서만 1등을 외칠 것이 아니라 웹3.0시대에는 진정한 글로벌 기업이 나와야 인터넷 강국이란 말이 오명이 되지 않을 것이다. 웹3.0은 2010년 시작된다. 노바 스피백은 웹3.0에 대해 "우리는 문서가 연결된 웹에서 데이터가 연결된 웹을 향해 가고 있다"면서 '월드 와이드 데이터(WWD)'로 규정한 적이 있다. 웹2.0에서 웹3.0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시만텍 웹, 이 웹은 끝없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검색하는 순간 그 검색자의 필요에 따라 결과물이 알아서 정렬되는 '친사용자'적인 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이다.


노바 스피백의 상상력은 웹 4.0으로 이어진다. 2020년부터 시작될 웹4.0은 '웹 OS'로 규정되는데, 쉽게 말해 인터넷이 사람의 두뇌를 대체하는 것이다. 인터넷이 지금 우리가 바라보는 '거대한 정보망' 따위가 아니라 사람의 두뇌가 병렬처럼 연결된 '인공지능'이 되는 형이다. 따라서 우리가 필요한 모든 것을 인터넷이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서비스할 것이라는 게 노바 스피백의 주장이다. 이제 막 웹 2.0을 체험하기 시작한 우리에게는 모든 게 꿈만 같다. 2010년도 아니고 2020년이라니 더더욱 그러하다. 노바가 진단한 것처럼 흘러갈지 모르겠지만 중요한 사실은 웹은 이 순간에도 진화를 해 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웹 2.0, 장밋빛 낙관만은 곤란하다

웹 2.0 시대, 당신은 블로그를 직접 운영하며 위키피디아의 제작자이고, 댓글을 열성적으로 달면서 또다른 세계의 자신을 구축하며 살아가고 있는가?

진화하는 인터넷 환경 속에서 장밋빛 낙관이 즐비한 웹 2.0! 공주대학교 배진아(영상학과) 교수를 만나 관련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공주대학교 배진아 교수(영상학과)는?



▲ 공주대 배진아(영상학과) 교수
ⓒ 고두환
배진아 교수
방송위원회 정책연구실 연구원('94 ~ '96)
MBC 편성국 전문연구위원('02 ~ '05)
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총무이사 ('05 ~ )
<방송연구> 편집위원 ('06 ~ )
MBC 시청자 평가위원 ('06 ~ )

- 웹 2.0 시대, 어떻게 바라보십니까?
"일단 웹 2.0 시대는 매우 흥미롭다. 이를 주제로 열리는 세미나들은 웹 2.0 시대를 권력이동의 중요한 축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점쳐본다. 방송과 신문에서 가졌던 언론의 기능이 포털로 이양되고, 포털로 이양되었던 이른바 권력이 다시 블로그로 이양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개인의 블로그 활동이 활성화되면서 이런 움직임은 여러 곳에서 감지된다. 하지만 그렇게까지 실현되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을 살펴볼 수 있다. 크게 두 가지로 살펴보자.

첫째, 적극적인 참여자가 부족하다. 하나의 쟁점이 인터넷 공간을 달궈도 거기에 직접 참여하거나 댓글을 다는 이른바 적극적 참여자는 흔치 않다는 것이다. 이는 자칫 개방형 공론장이 적극적 참여자만의 공간, 즉 그들만의 리그로 전락해버리는 안 좋은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둘째, 블로그가 지극히 개인적이다. 내가 좋아하는 여행, 요리, 사는 이야기 등으로 치중된 블로그 활동들을 매우 의미있지만, 위에서 논한 권력이동 행태와는 다소 거리가 멀다. 실제 언론활동의 일부 기능을 수행하거나, 사회적 쟁점의 공론장으로서의 역할 수행은 그리 크지 않다는 견해이다."

- 웹 2.0이 사회적 공론장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것입니까?
"그건 아니다. 하지만 냉정하게 바라볼 필요는 있다. 실제로 훌륭한 공론장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선 '쿨'한 의견들이 주류를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인터넷 공간의 공론은 '핫'한 의견들이 주류를 이룬다.

내가 정의하는 '핫'한 의견은 쟁점만을 너무 부각하여 앞뒤 돌아보지 않고, 공론 특유의 냉정함을 잃어 본질을 호도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실제로 웹 2.0 시대가 도래하면서 이런 부분의 부작용은 더 심각하게 나타난다고 조심스럽게 얘기하고 싶다. 예를 들자면, 본질을 호도한 채 국민들을 선동하는 듯한 공론 형성 등이 있다."

- 적극적인 활동층이 충동적인 20대기에 그런 것은 아닙니까?
"물론 20대가 웹 2.0 시대의 주인공인 것은 맞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우리 사회에서 20대는 엄청 소극적이다. 이는 정확한 통계가 수반되어야 한다. 실제로 인터넷 공간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블로거들은 20대가 아닌 경우가 많다. 실제로 인터넷 공간에서 공론을 이끌어내고, 웹 2.0을 이끌어가는 주도적인 역할은 중장년층이 하는 경우가 많다. 적극적인 활동층만을 놓고 본다면, 웹 2.0 시대의 주인공은 어쩌면 20대가 아닐 수도 있다."

- 웹 2.0의 UCC를 기존 방송의 대안으로 보십니까?
"나는 부정적으로 본다. 방송은 엄청난 자본이 투입되어야 한다. 아무리 역량이 뛰어난 개인이 UCC를 제작한다고 해도, 장비와 조직이 투입된 방송의 질을 따라올 수는 없다. 결국 개인의 UCC 활동이 사회에 중요한 활력소를 작용할 수는 있어도 사회를 선도할 수는 없을 것이다.

오히려 <오마이뉴스>가 오마이TV 같은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거나, IPTV의 출현 등이 방송의 아성을 위협할 수는 있으나 방송은 건재할 것이다. 오히려 언론 분야만 놓고 봤을 때 YTN 같은 뉴스 전문채널의 영역 확대가 방송에겐 큰 위협이 될 것이다."

- 웹 2.0의 공중도덕 형성과, 자정능력 강화 등에 대한 지적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결국 사회의 공공질서는 시민 개개인이 준수하는 것처럼, 개인 스스로가 웹상의 질서를 준수해야 할 것이다. 문제는 우리나라 교육과정 상에는 이런 부분을 교육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웹 2.0 시대의 중요한 키워드는 블로그이고, 개개인의 블로그는 결국 일종의 언론활동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어설픈 언론활동은 자칫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에 언론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영상학회와 민주언론운동연합은 몇 해 전부터 교육과정에 언론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이어가고 있다. 대부분 사람들은 언론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사고하지만 교육을 받은 적이 없기에 웹 2.0 같은 개방형 공간에서 사실왜곡, 악성댓글 등의 행태가 빈번하고 실제로 이에 대한 책임감이나 죄의식도 느끼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어렸을 때부터 이런 교육이 실시되지 않는다면 웹 2.0은 롱런하지 못하고 오히려 웹 1.0이나 1.5 정도로 회귀하고 말 것이다."

[용어 설명] 웹 2.0 이란?
웹 2.0이란?
데이터의 소유자나 독점자 없이 누구나 손쉽게 데이터를 생산하고 인터넷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참여 중심의 인터넷 환경.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모아 보여주기만 하는 웹 1.0에 비해 웹2.0은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다룰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정보를 더 쉽게 공유하고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블로그(Blog), 위키피디아(Wikipedia), 딜리셔스(del.icio.us) 등이 이에 속한다.

1)blog : 보통사람들이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자유롭게 글을 올릴 수 있는 웹 사이트
2)Wikipedia : 누구나 자유롭게 글을 쓸 수 있는 사용자 참여의 온라인 백과사전
3)UCC(User Created Contents) :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
4)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

[출처: 두산대백과사전]

2008년 5월 5일 월요일

당신은 주변에 좋은 반사 대상을 가지고 있나요?

정신분석가 하인즈 코허트는 “인간에게는 거울 같은 인물이 필요하다.”라고 말했습니다. 정신분석 용어로는 ‘자기 반사 대상(mirroring self object)’이라고 하는데, 자신의 긍정적인 면을 비춰주고 격려해 주는 인물이 필요하다는 의미지요.
우리는 알게 모르게 주위 사람들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됩니다. 상대방이 나를 긍정적으로 반사해 주면, 스스로도 자신을 긍정적으로 보게 되지만, 상대방이 나를 부정적으로 반사하면, 스스로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을 부정적으로 여기게 되는 거죠.
마음의 자유와 휴식을 얻게 하는 정신 분석을 통해 많은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는 이무석 박사는 자신의 저서 ‘30년만의 휴식’에서 만약 자신의 주변에 늘 잘못을 지적하고, 죄책감을 느끼게 하는 사람이 있다면 일단 거리를 두는 것이 좋다고 말합니다. “다 너를 위해서”라고 얘기한다 하더라도, 그들의 지적이 우리 스스로를 뭔가 잘못된 사람처럼 느끼게 한다면, 그런 반사 자체가 당신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신분석가 하인즈 코허트는 환자들을 분석하다가 열등감이 심하고 쉽게 상처받고 허무하게 무너지는 사람들은 대부분 어릴 때부터 자기를 알아주고 비춰주는 인물을 갖지 못한 사람들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어린 시절부터 상대방의 반응을 통해 스스로에 대한 자아상을 확립해 나가기 시작합니다. 어린 아이들은 스스로에 대한 자아상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자기가 누구인지 모르는 거지요.
정신의학자들이 아이들을 관찰한 보고서에 따르면 아이들은 다만 본능적으로 자기가 위기에 처하면 누군가 달려와 보호해 줄 것이라는 믿음만을 갖고 태어난다고 합니다. 실제로 아이가 태어나면 엄마는 아이의 충성스런 보호자가 됩니다. 늘 곁에서 대기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아이의 요구에 즉각 즉각 반응해 주지요. 아이는 그런 엄마의 반응을 보고 자아상을 그려나가기 시작합니다. 엄마라는 거울에 비춰진 자기의 모습을 보고 ‘나는 예쁜 아이구나!’, ‘나는 중요한 아이구나!’라는 자아상을 확립해 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예쁜 아이’, ‘소중한 아이’라는 자아상을 처음부터 가지고 태어나는 아이는 없는 것이지요.
그 시기에 긍정적인 ‘자기 반사 대상’을 가질 수 있어야 ‘건강한 자기애’가 형성될 수 있고, 건강한 자기애가 형성된 사람은 ‘소중하다’는 것의 느낌을 알고 있기 때문에, 내가 소중한 사람인 것처럼 이웃도 소중하다는 것을 알고 남의 권리 역시 존중해 줄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그런 건강한 사람은 쉽게 자존심에 상처받지 않으며, 인기에 굶주린 나머지 무조건 다른 사람의 의견을 따르고 보는 우를 범하지도 않습니다.
반면, 이런 긍정적 자기 반사 대상을 갖지 못했던 사람들은 코허트가 발견한 것처럼, 열등감이 심하거나, 쉽게 상처받고, 무너지는 사람이 되는 것이지요.
이는 성인이 되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 당신에게는 ‘따뜻한 긍정과 관심’을 가지고 멘토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사람, 나를 비판하거나, 평가하지 않고 내 얘기를 들어주는 사람, 마음 편히 속생각을 터놓고 얘기해도 여전히 건강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이 주변에 있나요? 그들은 당신의 친구나 선배, 직장 동료일 수도 있고, 상담가나 종교인일 수도 있습니다. 어린 시절, 긍정적 거울 역할을 해 주는 사람을 갖지 못했던 사람들은 더욱 이런 인물이 필요합니다.
인생을 살다가 자신이 한없이 초라하고 한심해 보여서 괴로울 때, 이런 긍정적 반사 대상은 우리를 나약하다고 비난하거나 부끄럽게 하지 않고, 안심시키고 격려해 줄 것입니다. 그런 격려를 통해서 우리는 다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힘을 회복하게 되지요.
주변에서 자신의 긍정적인 면을 비춰주고 격려해 주는 인물을 찾아보세요. 그들과 함께 지내는 시간을 늘려 보세요. 그들은 분명 당신이 훨씬 더 긍정적이고 활기찬 삶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자기 계발 작가 김보승 드림
*참고 자료: ‘30년만의 휴식’, 이무석 지음, 비전과 리더십